본문 바로가기
건강 다카이브/건강백서

만성 염증을 잡아라! 항염에 좋은 7가지 채소 어떻게 먹어야 건강에 더 좋을까?

by 다아카이브 2025. 1. 3.
반응형


만성 염증은 심각한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 당뇨병, 관절염, 암 등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됩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일부 채소에 항염증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염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브로콜리, 시금치, 케일, 마늘, 토마토, 파프리카, 양배추 등이 대표적인 항염 채소로 손꼽힙니다.

항염에 좋은 채소들을 섭취할 때는
그 영양소를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올바른 조리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채소마다 최적의 조리법이 다르기 때문에,
그 특성에 맞게 조리해야
효과적인 항염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브로콜리

1. 브로콜리

효능
브로콜리는 설포라판이라는 항염증 성분이 풍부합니다. 이 성분은 염증을 억제하고,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조리법
브로콜리는 찌는 방법이 가장 좋습니다. 끓는 물에 너무 오래 삶으면 비타민 C와 설포라판이 파괴되기 때문에 살짝 데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올리브 오일에 볶으면 설포라판의 흡수율이 증가합니다.

시금치



2. 시금치

효능
시금치는 비타민 K, 비타민 C, 철분이 풍부하며 항염증 효과를 제공합니다. 특히 염증을 억제하는 폴리페놀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조리법
시금치는 데치는 것이 좋습니다. 과도하게 익히지 않고 살짝 데쳐서 먹으면 비타민 C는 줄어들지 않으며, 철분과 마그네슘은 더 잘 흡수됩니다. 기름과 함께 섭취하면 비타민 A와 비타민 E 흡수율이 높아집니다.

케일


3. 케일

효능
케일은 항산화물질과 비타민 K가 풍부하여 항염증에 효과적입니다. 특히 베타카로틴은 염증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리법
케일은 생으로 먹거나 가볍게 볶는 것이 좋습니다. 베타카로틴은 조리 시 흡수율이 높아지므로 기름에 볶아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레몬을 곁들이면 비타민 C의 흡수도 증진됩니다.

마늘


4. 마늘

효능
마늘은 알리신이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강력한 항염증 효과를 발휘합니다. 알리신은 염증을 억제하고, 심혈관 질환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조리법
마늘은 생으로 다진 후 10분 정도 기다려 조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리신 성분이 활성화되기 때문입니다. 그 후, 볶거나 구운 음식에 넣어 먹으면 좋습니다.

토마토


5. 토마토

효능
토마토는 리코펜이라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성분은 염증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리코펜은 심혈관 질환 예방에도 유익합니다.

조리법
토마토는 익혀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리코펜은 열을 가했을 때 더 잘 활성화되므로, 토마토 소스나 스튜로 조리하면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파프리카


6. 파프리카

효능
파프리카는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염증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베타카로틴이 풍부해 항염증 효과를 제공합니다.

조리법
파프리카는 생으로 먹거나 살짝 볶아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기름에 볶으면 비타민 A의 흡수율이 높아지며, 비타민 C는 손실이 적도록 조리해야 합니다.

양배추


7. 양배추

효능
양배추에는 설포라판과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염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소화 건강에도 유익한 채소입니다.

조리법
양배추는 가볍게 찌거나 볶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오래 익히지 않도록 주의하고, 생으로 샐러드에 넣어도 좋습니다.

항염증 식단을 꾸준히 유지하면 건강을 지키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각 채소의 특성에 맞는 조리법을 참고하여, 더 맛있고 건강한 식단을 만들고, 염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https://www.nhlbi.nih.gov/health-topics/inflammation

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
https://www.hsph.harvard.edu/nutritionsource/what-should-you-eat/foods-to-boost-your-immune-system/

American Heart Association
https://www.heart.org/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https://www.journals.elsevier.com/journal-of-nutritional-biochemistry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