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9

[스포츠재활]어깨 탈구,탈골 - 상완와관절의 탈구 상완와관절의 탈구 상완와관절의 탈구 상완골두가 견갑관절순와(glenoid labral fossa)에서 어긋나며 발생 모든 탈구의 50%를 차지하며 대부분은 전방탈구 후방 탈구는 상완와관절 탈구 중 1-4.3%에 해당된다. 직접적인 외상에 의한 탈구 중 85-90%는 재발된다. 방사선 검사상 쉽게 발견된다. 전방탈구 전방탈구 원인과 증상 외전, 외회전, 신전 복합력으로 인해 견갑골관절와(glenoid cavity)에서 상완골두가 빠지는 상태이다. 관절낭과 인대, 조직이 과열 상태이다. 회전근개의 과열로 인한 출혈 발생한다. 관절순의 과열로 유착 발생한다. 상완신경이(brachial nerve)이나 혈관이 손상된다. 회전근개의 파열된다. 아탈구(subluxation) 이두박근 건(bicipital tendo.. 2022. 1. 19.
[스포츠 재활] 견관절 손상의 종류와 치료방법(쇄골골절, 흉쇄골관절염좌, 견봉쇄골관절염좌) 쇄골 골절 쇄골은 몸통의 힘을 팔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견관절의 움직임과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쇄골 골절은 접촉성 스포츠에서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골절로 쇄골의 외측 1/3 지점에서 흔하게 일어난다. 손상 시 신경과 혈관 손상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재활 시 합병증에 유의하여야 한다.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 간접적 외상 팔을 뻗힌 상태로 떨어져 손상된다. 직접적 외상 하키 등과 같이 막대기를 이용하는 스포츠에서 어깨 쪽에 드물게 발생된다. 재활 과정 손상 후 8자 붕대법(figure 8 bandaging)을 이용하여 약 6-8주간 고정한다. 고정 후에 가능한 한 빨리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관절 가동화 운동을 시작한다. 삼각근, 상승모근, 대흉근을 강화시키면서 신경근육 조절 운동을 한다... 2022. 1. 18.
스포츠 재활- 등척성 운동, 등장성 운동, 동심성수축과 편심성 수축 근력 생성 저항 훈련에 따른 근섬유 크기의 증가하면 근육 비대가 일어난다. 저항훈련에 반응한 골격근은 훈련 중단 후 48시간이 지나면 원상태로 돌아간다. 근육 비대로 인해 근력이 증가하면 비수 축성 구조물인 건과 인대의 강도도 증가된다. 또한 뼈의 무기질 함유도 증가하여 골절에 강해지는 장점이 있다. 재활 과정에서의 점진적 저항운동 재활 과정에서는 근력의 증강보다는 근력의 유지 및 근지구력의 향상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운동 중 통증이나 붓기는 과부하를 알려주는 신호로 치유 과정에 알맞게 진행시켜야 한다. 근육 수축의 따른 운동 형태 등척성 운동 근육의 길이에 변화 없이 근긴장도가 증가하는 근수축 운동이다. 재활 훈련 초기에 사용되는 운동이다. 완전히 관절 가동이 가능하기 전까지는 기능적인 등척성 운동을.. 2022. 1. 17.
스포츠 재활- 동적 스트레칭과 정적 스트레칭 스트레칭이란? 스트레칭은 근육의 반사적 이완과 신장을 유도하는 활동이다. 움직임의 주가 되는 근육인 주동근과 주동근 뒤에서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길항근 사이에는 힘의 균형이 존재하는데 이 균형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무너졌을 때 손상을 야기시킨다. 스트레칭의 필요성 근골격계 손상이나 부상을 예방 스포츠 경기력을 향상 운동 후 근육통을 감소 신체의 균형 유지 순환을 촉진 스트레칭의 종류 근육에는 근육의 길이에 반응하는 근방추와 근긴장도에 변화하는 골지건기관이란 기계적 수용체가 존재한다. 이 기계적 수용체를 통해 근육에서 일어나는 일을 중추신경계로 알릴 수 있다. 근육이 스트레칭되면 기계적 수용체 반응이 척수에 전달되고 척수에서 근육으로 신호가 다시 전달되어 반사적 근수축이 일어나 신장에 저항하게 된다. 동.. 2022. 1. 16.
반응형